목록분류 전체보기 (51)
eggrok
겉으로 보이는 동작의 변화없이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조(디자인)를 바꾸는 작업 Rename패키지, 클래스, 메서드, 필드, 변수, 파라미터의 이름을 바꾸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코드의 내용과 관계가 없는 프로젝트 이름이나 소스 폴더의 이름도 이 기능으로 바꿀 수 있다.Move메서드나 필드가 잘못된 클래스에 속해 있어 이를 적절한 다른 클래스로 옮기고 싶을 수 있다. 또는 어떤 패키지에 속해 있는 클래스를 다른 클래스로 옮기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 Move 리팩터링을 사용할 수 있다. 클래스를 다른 패키지로 이동클래스를 다른 클래스로 옮기고 싶을 때는 에디터나 패키지 탐색기에서 클래스를 선탟한 다음 Refactor>Move를 선택하여 나타나는 대화상자에서 현재 선택한 클래스가 위치할 패키지를 선..
execteQuery로 명령하면 ResultSet이라는 객체를 돌려주는데.. execteQuery : DB에 명령 ResultSet : 명령에 대한 반환값. 반환해주는 값은 테이블을 보시면서 해야 이해가 빠를듯..예를들어 execteQuery("Select * from tableName"); 이라고 보냈다면tableName 라는 테이블에서 값을 가져올겁니다. 이 가져온 것이 ResultSet임.간단히 DB에 명령을 내리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명령에 따라서 디비가 작동하고, 작동한 결과 값을 돌려준다는 말입니다. ResultSet 클래스 쿼리문이 실행되어 결과로 반환된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ResultSet 클래스에 대해 알아 볼께요^^ absolute(int row) ResultSet 객체의 특정한 행으..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
Greate Teacher Onizuka | semi7623 http://blog.naver.com/semi7623/100005643950Statement 인터페이스는 Connection 객체로부터 Instance화하여 만들어 내며 DB에 SQL을 보내기 위한 준비작업과 실제 SQL을 실행하여 결과값을 주는 API를 제공한다. - Statement의 주요 메소드 1. execute() execute()라는 메소드는 질의문(SELECT)이나 갱신문(UPDATE, INSERT, DELETE)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질의문의 결과(ResultSet)을 얻기 위해서는 별도로 마련된 getResultSet()라는 메소드를 사용해야 한다. 2. executeQuery() executeQuery() 메소드는 SELE..
List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다형성. 예를 들면, List a = new ArrayList(); List a = new Vector(); List a = new AbstractSet(); 이는 List 탑입의 a 변수를 선언하고서, ArrayList, Vector, AbstractSet 등 많은 타입을 생성할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형의 데이타를 받을수 있다. 1. 인터페이스 List 대신에 구현 클래스 ArrayList의 형타입을 알 수 있다면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낮게 나는 새가 더 자세히 본다) 2. 구현 클래스 ArrayList 대신에 인터페이스 List를 사용하면 더 많은 형타입을 받아 들일 수 있습니다. (높게 나는 새가 더 멀리 본다.) 예를들어, 목록의 모든 원소를 출력하..
자바에서 serial version uid를 생성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클래스들 간의 구별을 하기 위한 것이다.동일한 이름을 가진 클래스라 하더라도 메소드나 필드가 다를 경우 서로 다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에 Object Serialization을 할 때 import/export 등에서 버전에 따라 종종 불일치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만나게 된다. 클래스가 바뀌었다는 것을 기본 serial version uid 계산 알고리즘을 통해서 검출했기 때문이다.물론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6120832682080437368L;와 같이 클래스에 직접 serial version uid 값을 지정해버리면 기본 uid 계산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1.1. 연동의 필요성 대부분의 웹 컨테이너(톰캣 포함)는 웹서버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웹서버와 연동해서 사용하는 이유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l 톰캣은 아파치 웹서버 만큼 정적인 문서를 빠르게 처리하지 못한다. l 톰캣은 아파치 웹서버 만큼 다양한 옵션 및 환경 설정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l 톰캣은 아파치 웹서버 만큼 안정적이지 못하다. l 이미 많은 사이트들이 웹서버 기반으로 많은 시스템 들을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CGI, PHP 등 서버 사이드 애플리케이션 들과 더불어 다양한 모듈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모든 기능을 톰캣에서는 실행시킬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웹서버와 톰캣을 연동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 또한 웹서버와 연동을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톰캣에 접속..
웹서버 [Web Server] 백과사전 : 웹 서버 (소프트웨어) :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로부터 HTTP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에서 흔히 찾아 볼 수 있는 자료 콘텐츠에 따라 HTTP에 반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웹 서버 (하드웨어) : 위에 언급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 WAS, Web Application Server ] 용어사전 : 웹과 기업의 기간 시스템 사이에 위치하면서, 웹 기반 분산 시스템 개발을 쉽게 도와주고 안정적인 트랜잭션 처리를 보장해 주는 일종의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서버. 3계층 웹 컴퓨팅 환경에서 기존 클라이언트/서버환경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환경에서 트랜잭션 처리 및 관..
*윈도우 7의 최소 사양은 ․1GHz 프로세서(32, 64-bit) ․1GB RAM (32bit), 2 GB RAM (64bit) ․16GB 디스크 가용공간(32bit), 20GB 디스크 가용공간(64bit) 1)1GHz 프로세서(32,64) 1GHz는 기가헤르쯔 라고 읽으며 CPU의 클럭 속도를 나타냅니다. 시작->내컴퓨터->속성 에가보시면 CPU 라고 써있고 몇몇 헤르즈 라고 써있는데 그게 1 GHz 이상이면 된다는 말입니다 만은 GHz는 Hz * 100000000(10억) 입니다. CPU에서 1Hz는 1초에 1번 계산한다 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1GHz 니까 1초에 10억번을 계산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만약에내가 1GHz가 안된다고 하더라도 그 CPU의 계산속도, 스레드 클럭 숫자 등을 감안해 봐..